뉴스

Home복지관 소식뉴스
목록
정민화








'나'를 나누는 인간답게 사는 길 제시
<복지교육 연재시리즈④> 함께 만드는 행복세상… 복지문화사업으로 확대해야












이종하(복지교육발전추진위원/송화미술관 주간)
교육(敎育)이란 가르치고 기르는 행위를 일컫는다. 인간세(人間世) 사는 일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그러한 까닭에 낳아 키우는 과정에서 바르게 자라도록 하는 훈육이 필요하다. 갓난아이는 태어나서 성장해가는 과정을 통하여 하나의 인격적인 개체로서 부모와 주변 어른 그리고 사회의 여러 구성원으로부터 다양한 교육을 받음으로써 그가 속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기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으로서 한 세상 살아가는 동안 ‘어떻게 살 것인가’의 올바른 본을 바로 세워주는 것이야말로 참교육의 요체인 것이다.

‘인간’을 연구하고 ‘인간’을 사고하는 학문은 많다. 철학은 ‘인간의 이성’에 주목하고 인류학은 ‘인간의 행동양태’에 집중한다. 이러한 분류법에 따른다면 복지학은 ‘인간의 삶’에 천착하는 사회과학 분야의 학문이며,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낙후된 사람들과 사회 전체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는 사회과학으로서 철학, 인류학, 경제학, 사회학 등 제반 학문간 교류와 제휴를 통해서 완성되는 다층 구조의 복합적 학문이다. 인간이 ‘인간’을 탐구하기 위한 제반 학문의 총체적 결합이라는 측면에서 복지학은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통합학문이다. 따라서 복지교육은 전인교육의 틀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불행하게도 우리나라는 성장과 복지를 이원적 대립구조로 인식하는 서구의 사고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복지를 성장의 저해요인으로 평가하는 편향된 시각은 현 정권의 좌파적 성향과 잇대어 사회복지사업을 포퓰리즘적 사회주의정책으로 매도하고 있다. 사회복지의 현장에서는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정책의 실천적 통합에 엇박자를 보이고 있다. 사회복지의 방향과 정체성조차 제대로 세우지 못하면서 복지 실현의 속도 내기에만 집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복지는 분배가 아니라 나눔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지의 가시적 성과에만 급급한 정책들은 분배우선의 좌파적 혐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러한 방향성의 상실로 말미암아 우리나라의 복지정책은 국가경제의 성장동력을 위축시키는 재정부담의 우려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다. 복지는 있는 자의 것으로 없는 자의 빈틈을 채워주는 분배가 아니라 있는 자와 없는 자가 서로 나누는 것이라는 인식은 참복지의 구현을 위해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며, 이를 위해서 체계적인 복지교육이 필요하다 하겠다.

복지교육은 ‘인간답게 사는 법’을 가르치는 교육이다. 우리의 옛 어른들은 아이가 글을 깨우치면 동몽선습(童蒙先習)의 교육을 통해 사람의 윤리와 세상의 도덕을 가르쳤다. 일본의 아이들은 유소년 기에 ‘시쯔케’라는 전통적 가정교육을 받음으로써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 사회규범을 체득한다. 처세서의 고전으로 평가 받는 채근담(菜根譚)에서는 내가 먼저 물러서고 양보하는 ‘세상살이의 극의(極意)’를 가르치고 있다. 일생을 양보해도 백 보에 미치지 못한다는 선인의 가르침은 ‘나’를 줄임으로써 ‘인간답게 사는’ 길을 선험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나’를 줄이는 것은 스스로 ‘나’를 나눔으로써 가능하다. 굳이 옛 서책・전적의 훈육법을 원용하자면 복지교육은 ‘나’를 줄이는 것이며 온전히 ‘나’를 나누는 방법을 가르치는 교육인 것이다.

다행인 것은 최근 들어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나눔과 복지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개인과 단체가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는 현상이다. 수질환경이 열악하고 오염된 물로 인해 식수난에 허덕이는 동남아 가난한 마을에 우물을 만들어 주는 우리 기업이 있는가 하면 몽골에 장애아동 특수학교를 건립해준 기업, 중남미 오지에서 의료봉사활동을 펴는 기업 등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한국 기업들이 세계 각 처에서 봉사를 통한 사랑의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기업이윤의 사회 환원이라는 구태의연한 제스처가 아니라 함께 웃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발로 뛰는 이들 기업의 진실한 몸짓에서 한국사회복지의 행복한 미래를 예감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복지교육에 관한 논의도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어린이 사회복지 교실에서 사용할 교재를 자체적으로 만들어 보급하는 대기업의 복지재단 등 이미 여러 기관과 단체에서 범사회적 복지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대학의 사회복지학과 교수를 비롯한 관계 전문가 집단에서도 복지교육의 사회적 접근 방안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회적 축적과 역사가 일천한 한국의 사회복지 수준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참으로 소중한 성과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의 정착과 확산을 위해서 정부에서도 복지교육의 정립과 실천에 필요한 법적・제도적 장치의 정비에 진력하여야 한다. 금년 6월 29일에 제정되어 대통령령 제19568호에 의해 시행된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버금가는 복지교육지원법을 제정하는 일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8차 교육과정에 복지교육을 정규교과목으로 채택하여 학교를 통한 체계적인 교육을 시행하는 방안도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란 우리가 우리에게 서로 친구가 되어 세상 속에서 행복하게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행복할 권리가 있다. 또한 사람은 세상을 행복하게 만들어야 할 의무가 있다. ‘어느 한 사람 낙오되지 않고 모두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씨앗’들을 발아시키고 건강하게 생육시키는 범사회적 과제가 다름 아닌 복지교육이다.

목록